티스토리

김정식 허명성의 과학사랑
검색하기

블로그 홈

김정식 허명성의 과학사랑

sciencelove.com/m

민서아빠(과학사랑) 님의 블로그입니다.

구독자
165
방명록 방문하기
공지 홈페이지 이전완료 모두보기

주요 글 목록

  • 태양계 행성들 증강현실(AR)로 관찰하기 Merge Explore 앱을 이용하면 무료버전에서도 태양계를 AR 로 관찰할 수 있다. 1. 아래 링크에서 설치하면 된다.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MergeCube.EDUExplorer&hl=ko Merge Explorer - Google Play 앱실습 대화 형 시뮬레이션으로 과학을 배우십시오!play.google.com 1. 앱을 실행시킨다. - 회원가입과 로그인이 필요하다.2. 앱애서 맨 처음 나오는 태양계를 선택한다.3. 설명을 읽고 아래로 내려서 활동1을 누른다.4. 월드를 선택하고 책상이나 바닥에 비춰주고, 위치를 선택해서 눌러주면 태양계가 나타난다.5. 스마트폰을 들고 돌아다니면서 관찰하면 된다.6. 행성을 누르면 행성이 확대..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6. 6.
  • <수업설명팁> 자전과 공전, 별의 일주운동,일식,월식, 황도12궁 쉽게 설명하기 지구의 자전과 공전 방향은 항상 어렵다. 태양도 돌고, 지구도 돌고, 달도 돌고, 별도 돌고 또 돌고 또 돌다 보면 머리도 돈다. 시계방향으로 돈다고 했는데 그 다음에는 반시계 방향으로 돈단다. (관측자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 그래서 학생들이 어려워 한다. 조금 더 쉽게 설명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 고민하다가 지구 자전에 대한 수업을 할 때 매시간 학생들을 돌리기로 했다. 선생님은 태양, 너희는 지구, 교실은 천구라고 가정해 놓고, 매시간 학생들을 반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된다. 수업진도에 맞춰서 하나씩 추가해 나가면 모든 내용을 다 이해할 수 없겠지만, 일단 돌면 뭔가 설명할게 있고, 조금씩 이해가 된다. 시간이 된다면 모둠별로 서로 설명해 가면서 돌아보게 하면, 선생님이 앞에서 설명하는 것보다 더.. 공감수 9 댓글수 1 2023. 6. 11.
  • 달크기 측정 팝업 학습지 + 달크기 측정방법 개선 달크기 측정 팝업 학습지 달 크기를 별다른 도구 없이 쉽게 측정하게 하기 위해 달크기 측정용 팝업 학습지를 만들어 보았다. 만드는 방법 및 활동방법은 동영상 참고 https://youtu.be/pewpMQHei6I * 동영상과 달리 먼저 활동지를 3번 접어서 막대 모양으로 만들고, 그 다음 가위로 자르는 것이 좋다. 가위로 먼저 잘라 놓았더니, 잘 접지 못하는 학생들이 있다. 달크기는 삼각형의 닮은비만 알면 쉽게 측정할 수 있다. 전형적인 실험의 경우 50cm 자에 구멍이 뚫린 종이를 끼워서 달의 크기를 측정한다. 학생들 수 만큼 50cm 자를 준비하는 것은 쉬운일이 아니다. 그래서 학습지 하나만 가지고 실험하는 방법을 생각해 보았다. 어렵지 않은 실험이라 학습지 자체를 측정도구로 사용하게 만들었다. 1.. 공감수 5 댓글수 0 2023. 5. 18.
  • 스텔스기 사진뒤 별자리 보고 위치 알아내기 인터넷에 올라온 내용이다. 군비행장에서 촬영된 스텔스기 사진뒤에 별자리를 보고 스텔스기가 있는 비행장 위치를 알아냈다고 한다. 1. 스텔스기 사진 뒤 별자리를 그린다. 2. 웹사트에서 촬영된 날짜를 확인하고, 촬영된 시간을 알아낼 수 있다. 3. 스텔라리움 앱에 그 날짜의 별자리를 추적해 보면, 북극성 위치를 알 수 있고 위도도 알아낼 수 있다. 4. 북위 34-35도 정도라는 걸 알아내고 미국지도에 해당 위도에 선을 긋는다. 5. 해당위도에 위치하는 비행장을 찾아내서, 공장이 있는 비행장을 추적해서 특정 비행장을 알아낼 수 있다. 6. 사진 좌측에 촬영된 건물 일부와 구글지도를 이용해 비행기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끝. 공감수 0 댓글수 0 2022. 12. 29.
  • 태양 일식 관측 찜기 이용한 방법 및 실제 관측기 2020.6.21 2020.06.21 일 4시 - 6시 사이에 일어난 일식 관찰 찜기를 이용한 태양 일식 관찰 찜기의 구멍이 바늘구멍 사진기 역할을 해 주기 때문에 찜기 구멍을 통과한 태양이 바닥에 태양 모양의 상을 만들게 된다. 바늘구멍 사진기는 아래 그림처럼 바늘구멍을 통과한 빛이 상을 만들기 때문에 상하좌우가 반대가 된다. 찜기를 지면에 너무 가까이 하면 바늘구멍에 의한 상을 볼 수 없다. 또 너무 멀리 해도 상이 번져 보여서 관찰하기 쉽지 않다. 약 1m 정도 거리에서 찜기를 들고 가까이 했다 멀리 했다 하다 보면, 일식이 일어나는 태양 상이 맺히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시간대별로 촬영해 본 사진이다. 그림자로 본 일식 진행방향은 우측상단에서 좌측하단으로 진행되어 가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렇다면 실제 이날 일식.. 공감수 14 댓글수 8 2020. 6. 21.
  • 달의 위상변화 가상실험 - 스마트폰에서도 실행 달의 위상변화를 가르치다 보면 태양의 위치가 달라졌을때 학생들이 어려워 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달의 위상변화에 대한 개념을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설치 없이 웹에서 바로 실행할 수 있다. 아래 링크를 눌러 들어가면 된다.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에서도 가능하다. https://sciencej1.cafe24.com/html5/moonphase/moonphase.html 기존에 만들었던 달 위상변화 관찰프로그램과 차이점은 달과 태양을 마음대로 이동시켜 볼 수 있다는 것이다. 물론 지구도 자전시켜 볼 수 있고, 태양과 달을 동시에 이동시킬 수도 있다. 지구에서 본 달의 모습에 오해가 있을 수 있다. 많은 학생들이 상현달은 아래 그림처럼 항상 오른쪽 절반이 보인다고 착각한다. 절반이 보이는 건 맞.. 공감수 2 댓글수 2 2019. 1. 31.
  • 지식시장 - 지구와 달 모둠별 활동지 모음 지구와 달 내용을 가지고 운영했던 지식시장 활동지 모음입니다. 지식시장 운영방법은 아래링크 참고 http://sciencelove.com/2266 공감수 2 댓글수 0 2018. 5. 2.
  • 지평선을 변화시킬 수 있는 천구모형 1. 초간단 천구모형 만들기 간단한 천구모형들은 시중에 많이 나와 있다. 중심에 지구가 있고 주변에 천구가 있는 모형은 많지만 지평선을 변화시키고 천구운동을 관찰할 수 있는 모형은 많지 않다. 예전에는 둥근플라스크에 물을 넣고 둥근 플라스크를 회전시키면서 물표면을 지평선이라고 가정하고 별의 일주운동을 설명한 적이 있었다. 둥근플라스크의 각도를 바꾸면 자연스럽게 지평선이 바뀌면서 다양한 위도에 따른 별의 일주운동을 관찰할 수 있다. 하지만 영구적으로 만들 수 없고, 물을 사용하므로 불편한 점이 많았다. 그래서 쉽게 지평선을 변화시킬 수 있는 초간단 천구모형을 제작해 보았다. 가. 관련단원 : 중학교 2학년 5단원 태양계 나. 준비물 투명공 원 지름 8cm 네오디움 자석(원형사리 12*3T 내경 외경3.5*.. 공감수 7 댓글수 8 2018. 4. 15.
  • 복도에 설치한 천체망원경 - 교무실 앞을 실험실로 학생들을 가르치다 보면 시공간의 제약 때문에 마음껏 만져보지 못하게 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수업시간에 설명하기 위해 가지고 들어간 천체망원경을 3학년 교무실 복도에 1주일 동안 설치해 두었다. 망원경에 명칭을 알 수 있도록 간단한 이름도 함께 표기해 놓았다. 간단한 설명과 함께 누구나 만져 볼 수 있게 했고, 망원경 조작 순서는 시험문제에 출제 하였다. 천체망원경은 5만원도 안하는 저가 망원경이라 가대와 균형추가 없긴 하지만, 그래도 천체 망원경으로서 갖춰야 할 기본 요건은 다 갖추고 있다. 또 무거운 천체망원경이 넘어져 학생들을 다치게 할 염려도 없어서 좋다. 관심있는 학생들은 쉬는 시간에 와서 조작도 해보고, 초점도 맞춰 보며 논다. 보조망원경과 주망원경의 상도 맞춰보고, 거꾸로 상이 보이는 것도.. 공감수 1 댓글수 2 2017. 7. 10.
  • 푸코의 진자 가상실험 프로그램 - 지구 자전의 증거, 전향력 확인 지구자전의 증거인 푸코진자 가상실험 프로그램입니다. 현재는 북극에 있는 푸코의 진자만 확인하 수 있습니다. 진자를 위에서 내려다 보는 모습이라 진자 줄은 보이지 않습니다. 바닥에 진자가 왔다 갔다 하는 모습만 보이는 거라 설명해 주세요. 지구가 자전하지 않는다면 또는 지구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면 푸코의 진자가 어떻게 보여질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구 자전속도를 바꿔 가며 확인해 보세요 전향력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아래 링크 참고 https://sciencelove.com/1358 스마트폰용 앱은 구글플레이에서 전향력 가상실험 이라고 검색하거나 아래 링크에서 다운 받을 수 있다.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air.foucaultpendulum 공감수 3 댓글수 0 2017. 7. 2.
  • 태양계 행성단원 정리 - 뱅글북 만들기 양면인쇄할때 짧은쪽으로 넘김으로 인쇄해야 한다. 뱅글북을 만들어 태양계 행성관련 정리하는 자료를 만들어 보았다. 모든내용을 학생들이 직접 하게 해도 좋지만 미리 내용을 입력해 주는 것도 의미가 있어 보인다. 만들어서 활용하는 영상이다. 학생들이 1개씩 만들어서 공부할때 사용하면 좋을 것 같다. 뱅글북 설계도와 만드는 방법은 아래 링크 참고 http://sciencelove.com/2190 공감수 7 댓글수 0 2017. 6. 29.
  • 달이 항상 앞면만 보이는 이유 - 달의 자전과 공전 프로그램 설치 없이 웹에서 바로 실행할 수 있다. 아래 링크를 눌러 들어가면 된다.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에서도 가능하다.https://sciencej1.cafe24.com/html5/moonrotation/moonrotation.html 달이 항상 앞면만 보이는 이유를 설명하려고 프로그램을 만들어 보았다.달의 자전주기를 선택해서 달이 공전하는 동안 지구에서 어떻게 보이는지 확인해 보면 된다. 학생들은 달이 한달에 1번 자전한다는 것을 이해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그래서 달의 북극위에서 내려다 보는 모습도 추가했다. 그리고 달이 1바퀴 자전할때 마다 소리가 나게 했다.또 달이 자전하지 않으면 달의 모든면을 볼 수 있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게 했다.말로 몇번을 설명하는 것보다 한번 보여주는게 더 좋을 때가 있다.참고.. 공감수 6 댓글수 4 2017. 6. 26.
  • SolarAR 태양계 행성들을 스마트폰으로 보는 증강현실 앱 스마트폰만 있으면 할 수 있는 것이 많다.그중에 SolarAR 앱은 무료이면서 직관적으로 행성들을 관찰할 수 있게 도와준다. 사용해본 증강현실 앱 중에 태양계 행성을 관찰하는 앱으로는 최고인 것 같다. 태양과 행성을 함께 비추면 행성이 태양주위를 공전하는 모습도 볼 수 있다. 각 행성의 특징을 비교하거나 알아볼때 사용하면 유용할 것 같다. 앱은 아래 링크에서 다운 받을 수 있다.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aura.solarar&hl=ko 마커를 다운 받아 나름 학습지도 만들어 보았따. 잘 사용하면 행성관련 수업에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고행성여행상품을 만들어 발표할때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아래는 급하게 찍어본 동영상이다. ap.. 공감수 2 댓글수 13 2017. 6. 13.
  • <수업설명팁>달의 위상변화 학생들 얼굴모습 이용하여 쉽게 가르치기 달의 위상변화를 가르치기 위해 색깔을 절반만 칠한 공을 들고 교실을 돌아다니며 관찰을 시키거나 또는 뻥튀기를 이용하여 모둠 활동을 시키곤 했다. 뻥튀기 이용한 활동은 아래 링크 참고https://sciencelove.com/1971 뻥튀기를 이용한 달의 위상변화 관찰 학습지와 방법뻥튀기를 이용한 달의 위상변화 학습지와 관찰방법입니다. 달의 위상을 설명하기 위해서 학생들이 좋아하는 뻥튀기를 이용해 보았습니다. 우선 뻥튀기를 서로다른 2가지 색으로 준비합니다. 가sciencelove.com 달의 위상변화 관찰 프로그램은 아래 링크 참고https://sciencelove.com/1109 달의 위상 변화 관찰 프로그램달의 위상변화를 관찰 할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반드시 다운을 받아서 저장을 하신후 실행하세요.. 공감수 8 댓글수 4 2016. 6. 10.
  • 태양계 행성의 크기 비교 프로그램 웹상에서 작동하는 행성크기 비교 프로그램은 아래 링크에 가시면 할 수 있어요. http://sciencej.cafe24.com/html5/planetsize/planetsize.html 수업을 하다 보니 학생들이 지구와 태양의 크기가 얼마나 차이나는지 궁금해 하네요 그래서 인터넷 자료를 보여주곤 했는데 직접적으로 비교해 주면 좋을 것 같아서 간단하게 몇개의 행성과 태양의 크기를 비교하도록 프로그램을 만들었습니다. 우측에서 행성을 선택하면 색깔이 칠해진 원이 나타나고 나타난 행성원들은 마우스로 드래그가 가능합니다. 또 확대 축소 버튼을 눌러 전체적인 크기를 작게 만들어 태양의 크기를 한눈에 보이게 만들어 비교할 수도 있습니다. 실제로 만들어 놓고 보니 지구나 달은 정말 작네요. ^^ 한번 보여주면 확 느낌.. 공감수 2 댓글수 2 2016. 6. 1.
  • <수업설명팁>에라토스테네스의 지구 크기 측정 - 피자는 알고 있다 에라토스네테스의 지구크기 측정을 가르칠때 사용하는 방법이다. 수식만 나오면 우선 학생들은 어렵다고 느끼고 시도조차 하지 않으려고 한다. 그래서 시작을 실생활에서 시작한다. 피자 1조각을 칠판에 그리고 '선생님이 어제 피자가게에서 피자 1조각을 샀는데 주인이 피자 한판을 8조각내서 1조각을 파는 거라고 하더라. 그런데 선생님이 보기엔 피자 한판을 12등분 해서 1조각을 파는 것 처럼 보였어. 나머지 피자를 보자고 했더니 다 팔리고 1조각만 남았다면서 8등분해서 파는게 맞다고 하네 어떻게 하면 8조각을 낸건지 12조각을 낸건지 알 수 있을까?' 먹는 문제이기 때문에 남학생들의 반응이 심상치 않다. 여러가지 의견이 나오다가 내가 원한 의견들이 나오기 시작한다. 한 학생이 '피자를 종이위에 놓고 테두리를 따라 .. 공감수 5 댓글수 6 2016. 5. 31.
  • 달의 크기 측정 프로그램 - 시지름 이용 시지름을 이용하여 달의 크기를 측정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눈앞에 있는 가림막의 위치와 달의 위치를 드래그 해서 이동시킬 수 있습니다. 또 눈앞에 있는 가림막의 구멍 크기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달의 크기도 변경해 볼 수 있습니다. 설명변경 버튼을 누르면 다른방법으로 달의 크기를 측정하는 방법이 나옵니다. 공감수 4 댓글수 0 2016. 5. 30.
  • 북극성 고도와 위도 관계 - 에라토스테네스 지구 중심각 측정 웹상에서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 추가 아래 링크로 접속하면 바로 실행해 볼 수 있다. https://sciencej1.cafe24.com/html5/latitude/latitude.html latitude sciencej1.cafe24.com ----- 북극성의 고도가 그 지역에 위도라는 것을 보여주려고 만들었다. 관측자를 드래그 해서 위도를 바꾸어 가며 북극성의 고도가 어떻게 변하는지 살펴보면 된다. 처음에 만들때 잘 만들걸... 중간에 자꾸 아이디어를 추가하다 보니 프로그램이 복잡해져 버렸다. 실험할 수 있는 것은 1. 북극성의 고도와 위도의 관계 - 지구 둥근증거 2. 에라토스테네스의 지구크기 측정실험에서 그림자의 각도와 지구중심각과의 관계 - 지구크기 측정 3. 태양의 고도와 위도 관계 - 춘,.. 공감수 7 댓글수 4 2016. 5. 30.
  • 캄보디아에서 본 하현달의 모양 - 달의 위상 변화 캄보디아에서 본 하현달의 모습은 아래쪽 절반만 보이는 모습이었다. 달의 위상변화에서 하현달의 모양은 왼쪽편만 보이는 반달 모양으로 대부분의 학생들은 알고 있다. 그런데 실제로 새벽에 하현달의 모습을 살펴보면 왼쪽이 아니라 약간 좌측 아래쪽 절반이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위와 같이 왼쪽 절반만 보이는 모습은 하현달이 남중하는 가장 이상적인 경우에만 볼 수 있는 모습이다. 하현달이 동쪽 지평선 부근에서 떠오를때는 아래 그림처럼 거의 아래쪽 절반만 보이게 된다. 위 사진처럼 왼쪽만 보이는 채로 떠오르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런데 실제로 이런 사실을 잘 알지 못하는 학생들이 많다. 아래링크에 있는 달시계 프로그램을 실행시켜서 하현달이 지평선 주위를 돌게 하면서 관찰해 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http:/.. 공감수 3 댓글수 2 2015. 1. 15.
  • 뻥튀기를 이용한 달의 위상변화 관찰 학습지와 방법 뻥튀기를 이용한 달의 위상변화 학습지와 관찰방법입니다. 달의 위상을 설명하기 위해서 학생들이 좋아하는 뻥튀기를 이용해 보았습니다. 우선 뻥튀기를 서로다른 2가지 색으로 준비합니다. 가능한 태양빛을 받아 반사하는 쪽은 노란색이 좋을 것 같네요. 1. 뻥튀기를 반씩 갉아 먹은 다음 침을 이용해서 서로다른 2가지색을 붙여서 8개를 만듭니다. 2. 학습지 달의 궤도에 태양빛이 비추는 쪽으로 달의 노란색이 가게끔 방향을 잡아서 올려 놓습니다. 3. 눈앞에 지구 중심이 지나도록 학습지 주변을 돌면서 달의 모양을 관찰한다. 노란색이 얼마나 보이는지. . . 4. 노란색이 보인 만큼 뻥튀기를 절반으로 잘라 안보이는 부분을 갉아 먹은후 네모칸 안에 보이는 모습을 놓는다. 주의할점은 네모칸 안에는 눈에 보이는 모습을 올려.. 공감수 1 댓글수 2 2014. 3. 28.
  • 조석현상 가상실험2 - 밀물,썰물,만조,간조,사리,조금, 달의 위상변화 설치 없이 웹에서 바로 실행할 수 있다. 아래 링크를 눌러 들어가면 된다.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에서도 가능하다. https://sciencej1.cafe24.com/html5/tide/tide.html 조석현상 및 조수간만의 차에 대한 모든 실험이 가능합니다. 업그레이드 하면서 달의 위상변화도 함께 관찰할 수 있도록 추가했습니다. 제가 설명하는 방법 1.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태양에 체크 표시를 꺼서 지구와 달만 남깁니다. (태양이 없다면 밀물과 썰물의 높이는 항상 같다) - 달이 있는쪽이 달의 인력때문에 해수면이 부풀어 올랐음을 상기시킵니다. - 달의 반대쪽이 부풀어오른 이유는 지구가 달에 끌리는데 뒤쪽은 지구에 비해 잡아당겨지는 인력이 작아서 뒤쳐졌다고 설명합니다. (실제로 학생한명을 불러 내어 차렷자세.. 공감수 8 댓글수 5 2013. 4. 28.
  • 별의 일주운동 - 노래방 조명기계 화이트볼을 이용 노래방 조명기계 화이트볼을 이용하여 별의 일주운동을 설명해 보았습니다. 오래전부터 생각해 오던건데 몇일전 구입해서 사용해 보았습니다. 낮에도 어느정도 볼 수 있어서 좋습니다. 빛이 나오는 구멍을 막아 북두칠성과 카시오페이아 자리를 표시해 놓으니 보기가 더 좋네요. 조명기계는 G마켓에서 노래방 조명으로 검색해서 '화이트볼 12인치' 짜리로 구입했습니다. 140000원 정도 합니다. 그리고 구입해 보면 천장에 다는 거라 플러그가 없고 전선이 끊어져 있습니다. 학교에서 사용하지 않는 컴퓨터 본체나 모니터 전원선을 가져다가 중간을 잘라서 연결해 사용하시면 됩니다. 지평선을 변화시킬 수 있는 천구운동 모형은 아래 링크 참고 https://sciencelove.com/2258 공감수 5 댓글수 4 2013. 4. 20.
  • 계절별 별자리 프로그램 - 계절별로 별자리가 달라지는 이유 가상 프로그램 아래 링크로 가시면 웹상에서 바로 실행할 수 있습니다. https://sciencej1.cafe24.com/html5/SeasonalConstellations/SeasonalConstellations.html 계절별로 별자리가 달라지는 이유를 설명하려고 만들었습니다. 지구라고 쓴 글자를 드래그 하면 지구가 자전을 합니다. 그럼 우측상단에 관측자 입장에서 보는 하늘의 별자리가 나타납니다. 별자리는 밤에만 보이겠지요. 지구를 드래그 하면 지구가 공전궤도면을 따라 공전을 하게 됩니다. 지구가 공전한후 다시 자전을 시키면서 어떤 별자리가 밤에 보이는지를 확인하면 됩니다. 자동자전 에 체크를 해놓고 공전시키면 공전하면서 자동으로 자전을 하게 됩니다. 지구를 공전시키면서 보면 태양 또는 별자리의 연주운동도 관찰할 .. 공감수 1 댓글수 0 2013. 4. 20.
  • 태양 흑점 관찰 - 디지털 카메라 이용 캐논 카메라를 이용하여 태양흑점을 관찰해 보았습니다. 광학 35배, 디지털 140배 까지 확대가 되므로 천체망원경이 필요가 없네요 빔프로젝터 또는 TV와 연결해 사용한다면 교실에서 실시간으로 태양흑점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공감수 0 댓글수 4 2013. 4. 20.
  • 디지털 카메라로 찍은 달 관찰 동영상 캐논 PowerShot SX40 HS 카메라를 이용해서 촬영한 달과 목성의 동영상입니다. 캐논 카메라를 사서 공부하고 있는데 기능이 많네요 특히 광학 35배 디지털 140배 줌의 위력은 상상을 초월하네요 천제망원경 없이도 달을 찍을 수 있습니다. 메뉴얼을 보면서 다양한 활용방법을 연구중입니다. 잘 활용한다면 천제망원경 없이도 천체관측 행사가 가능할 것 같네요 디지털 카메라를 빔프로젝터에 연결하고 삼각대에 세워서 달을 맞추면 빔프로젝터를 통해 달의 모습을 실시간 관찰이 가능합니다. 또 천체망원경으로는 할 수 없는 줌인 줌아웃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 낮에 촬영한 달 모습은 몇시에 촬영한 영상일까요? 그리고 무슨 달일까요? 달모습을 보면 상현달을 지난후의 모습입니다. 오른쪽 .. 공감수 0 댓글수 0 2013. 4. 20.
  • LG사이언스 랜드에서 제공하는 과학송(우주송)-행성에 관한 내용 우주송(행성에 관한 내용) - LG사이언스랜드에서 제공하는 과학송 http://www.lg-sl.net/GameQuiz/SNCSong/SNCSongViewer.jsp?flash=/sl_song/SONG2005/SONG200504/SONG2005040003/SONG2005040003.swf&title=우주송&regno=SONG2005040003 가사보기 우주만물 너무 신비해 알면 알수록 더 알고 싶어 태양계는 8개 행성 각각 행성 특징도 달라 음음 수성 밤낮 기온차 크고 금성 가장 밝게 보여요 행성 순서 나열해보면 수~금지화목토천해 음음 화성 계절변화 지~구같~이 나타나고요 목성크~기 가장 크고 행성중에 뚱뚱보행성 음음 토성 많은 고리와 위성 천왕성 축이 누워있어요 행성 순서 나열해보면 수~금지화목토천해 .. 공감수 1 댓글수 1 2013. 4. 20.
  • LG사이언스 랜드에서 제공하는 과학송(태양송) LG사이언스랜드에서 제공하는 과학송 - 태양송입니다. 태양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공부할 수 있네요 http://www.lg-sl.net/GameQuiz/SNCSong/SNCSongViewer.jsp?flash=/sl_song/SONG2007/SONG200711/SONG2007110002/SONG2007110002.swf&title=태양송&regno=SONG2007110002 가사보기 태양 표면엔 무엇이 있을까 굴절망원경 반사망원경을 통해 관찰해 표면은 광구 온도 육천켈빈 쌀알과 흑점 자전하는 속도도 알 수 있어 중심에서 수소가 핵융합하는 태양 복사층과 대류층 광구 그 광구 표면에 쌀알 무늬와 흑점 온도차로 검게 보이지 십일년을 주기로 태양흑점 늘었다 줄었다 동에서 서로 움직여서 태양의 자전 알려~ 태양.. 공감수 0 댓글수 0 2013. 4. 20.
  • 아폴로 11호는 달에 가지 않았다? - 달의 특징을 설명할때 사용 아폴로 11호는 달에 가지 않았다? 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그들이 주장하는 내용들을 학생들과 함께 살펴보면서 달의 특징에 대해서 조금더 생각할 수 있을 것 같네요 아래는 TV에서 방영했던 내용입니다. 학생들과 함께 보아도 좋을 듯 아래는 네이버 지식인의 내용을 토대로 정리해 보겠습니다.. 출처는 아래 네이버 지식인 입니다. http://k.daum.net/qna/view.html?category_id=QNO005&qid=3m3Co&q=%BE%C6%C6%FA%B7%CE%B4%C2+%B4%DE%BF%A1+%B0%A1%C1%F6&srchid=NKS3m3Co 1.사진에 별이 없다 하늘이 검게 보이는데 왜 별은 하나도 찍히지 않았는가? 달에는 대기가 없기 때문에 낮에도 하늘이 검게 보이는 것이 맞습니다.. 공감수 1 댓글수 4 2013. 4. 20.
  • 에라토스테네스의 지구크기 측정 팝업 학습지 에라토스테네스가 측정했던 지구 측정방법을 학습지로 만들어 보았습니다. 학습지를 개인별로 (제가 보기엔 2명이 함께 하면 서로 종이를 잡아 줄 수 있어서 더 좋을 것 같습니다.) 출력해서 굵은선을 칼로 잘라서 점선을 따라 수직이 되게 접으시면 됩니다. 그리고 햇빛이나 후레쉬를 이용해서 지구 크기를 측정하게 하면 됩니다. 두툼한 종이위에 올려 놓고 하면 더 좋습니다. 팝업형태로 만들어 볼까 했는데 불편한 점이 있네요 그래서 가장 단순한 형태로 제작했습니다. O지점에 그림자가 생기지 않도록 조절한 다음 A와 B의 그림자를 표시하면서 진행하면 쉽습니다. 또 A와 B위치에 있는 막대를 이용해서도 지구 둘레를 측정할 수 있다는 것도 알려 주고 싶었습니다. ^^ 개인별로 해 볼 수 있고, 집에서도 해 볼 수 있다는 .. 공감수 11 댓글수 21 2013. 4. 20.
  • 망원경 현미경의 원리 자동작도 가상실험 프로그램2.0 2.0으로 업그레이드 하면서 첫번째 렌즈의 종류도 바꿀 수 있게 했습니다. 렌즈 2개를 이용하여 갈릴레이 망원경 : 볼록렌즈와 오목렌즈 이용 케플러 망원경 : 볼록렌즈 2개 이용 그리고 가까이 있는 물체를 볼록렌즈 2개를 이용해서 크게 볼 수 있는 현미경의 원리를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볼록렌즈 2개로 물체를 확대해 보면 상하좌우가 바뀌어 보입니다. 아래 그림은 현미경의 원리를 작도한 그림입니다. 작도에 약간의 문제가 있을 수 있지만 거의 99% 맞는다고 보시면 됩니다. 현미경을 만들든 망원경을 만들든 중요한 것은 접안렌즈로 볼 때 실물보다 큰 허상을 만들어야 한다는 겁니다. 그래야 접안렌즈에 눈을 대고 볼 수 있습니다. 천체망원경의 작도를 보면 빛이 접안렌즈를 지나는 빛을 평행하게 그리는데 고민해 본.. 공감수 1 댓글수 0 2013. 4. 20.
    문의안내
    • 티스토리
    • 로그인
    • 고객센터

    티스토리는 카카오에서 사랑을 담아 만듭니다.

    © Kakao Cor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