힘을 받은 물체는 모양이 변하거나 운동상태(속력이나 운동방향)가 변한다.
움직이는 우주선에 가해지는 알짜힘이 0이면 등속직선운동을 하게 된다.
즉 외부에서 힘을 받지 않으면 운동상태가 변하지 않는다. 이것을 관성이라 한다.
학생들에게 수업하다 보면 이 관계를 잘 이해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특히 운동하는 물체는 운동방향으로 힘을 받고 있다는 오개념을 가지기도 한다.
그래서 힘과 속력변화를 체험할 수 있는 게임을 만들었다.
아래 링크에 접속해서 재미있게 게임처럼 놀면서 관성과 힘과 운동상태와의 관계를 이해하게 하면 된다.
https://sciencej1.cafe24.com/html5/inertia/kjs_inertia.html
<프로그램 사용법>
1. 조이스틱을 이용해서 우주선을 움직이게 하면 된다. 우주선에 힘을 가하면 속력이나 방향이 변한다.
- 컴퓨터에서는 키보드 방향키로도 움직일 수 있다. (가능하면 조이스틱을 사용하게 하자)
2. 초기화 버튼을 누르면 우주선을 한가운데 정지시키고 처음부터 다시 시작할 수 있다.
- 움직이는 우주선을 멈추기 힘들 때 사용한다.
3. 중력 여부에 체크 하면 중력이 작용해서 아래로 떨어지게 된다. 여러 행성을 선택해서 중력 크기를 바꿔 볼 수 있다.
- 눈에 보이지 않지만, 중력도 우주선에 작용하는 힘이다. 따라서 우주선의 운동상태를 변화시킨다.
4. 경로표시를 누르면 우주선이 지나간 흔적이 남는다.
- 우주선이 어떤 경로로 이동하고 있는지 알 수 있다
5. 게임하기를 누르면 게임을 할 수 있다. 요건 아래쪽에서 다시 설명
<수업시간 활용법>
1. 우주선을 우측으로 이동시켜 보자. - 우측으로 잠깐 동안 힘을 가하면 된다.
- 잠깐 힘을 가해 주면 등속직선운동을 하게 된다.
2. 우측으로 날아가는 우주선에 같은 방향, 반대방향, 수직방향으로 힘을 가해보자.
- 같은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속력이 빨라지고, 반대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속력이 느려진다.
- 수직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운동방향과 속력이 함께 변한다.
(원운동의 경우 운동방향과 계속해서 수직으로 힘이 작용하지만, 이 프로그램에서는 운동방향과 계속 수직으로 힘을 줄 수 없으므로 방향 뿐만 아니라 속력변화도 생긴다.)
3. 이동하는 우주선을 가운데 정지시켜 보자.
- 실제로 해보면 정말 어렵다. 학생들은 정지시키려고 우주선을 조종하면서, 우주공간에서 우주선을 제자리에 정지시키는 것이 얼마나 힘든지 체험하게 된다. 약간의 힘만 받아도 우주선은 힘을 받은 방향으로 운동하기 때문에 해서 정지시키는 건 정말 어렵다.
이런 과정을 체험하면서 학생들은 힘과 속력변화의 관계를 깨닫게 되고, 관성에 대해서도 깨닫게 된다.
4. 중력을 작동시키면, 아무 힘을 가하지 않아도 아래쪽으로 속력이 빨라지는 걸 볼 수 있다. 누가 힘을 주고 있는 건지 생각해 보게 한다.
- 중력 크기가 달라진다면 속력변화는?
- 중력이 있는 곳에서 위로 운동하고 있는 물체의 속력변화는?
<게임방법>
이론에 익숙해지면 게임하기를 눌러 경쟁을 시켜보자.
게임은 우주선을 조절해서 목표지점에 4초 동안 머물게 해야 한다. 이런 과정을 3번 반복하면 게임에서 성공하게 된다. 누가 더 짧은 시간에 성공시킬 수 있는지 경쟁시켜 보자.
난이도를 조절할 수 있다. 어려움을 선택할수록 목표 크기가 작아져서 성공하기 어렵다.
중력을 작동시키면 게임이 훨씬 더 어려워진다.
성공하면 시간이 나온다. 시간이 짧을수록 더 잘했다고 볼 수 있다.
예전에 만든 컴퓨터에서 하는 게임은 아래 링크 참고
힘에따른 속력변화 프로그램 (우주선 조절 게임)
힘과 속력변화를 보여주기 위해 우주선 조절게임을 만들었다. 우주선은 우주공간에 있어서 작용하는 힘이 없다고 가정하고 키보드 방향키를 이용해서 우주선을 운동시킬 수 있다. 옵션에서 중
sciencelov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