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큰생선은 작은생선보다 얼마나 비싸야 될까? 시장에서 사과나 수박을 살 때, 또는 생선가게에서 생선을 살 때 이런 갈등을 해본일이 없는지? 작은 사과 10개를 살까, 아니면 큰사과로 5개만 살까.... 다른 예로 이런 상황을 연상하여 보자. 생선가게 아저씨가 점심을 먹으러 잠시 집으로 갔다. 그 사이에 아주머니가 가게를 잠깐 봐주기로 하였다. 손님이 찾아왔다. 아줌마 이 생선 얼마예요? 조금전 남편이 1000원에 파는 것을 보았던지라, 한 마리 1000원 인데요? 그런데 이번에 손님이 그 옆에 있는 생선의 가격을 묻는다. 그 생선은 1000원 짜리 생선보다 길이가 2배 더 길다. 그러나 생선가게 아주머니는 그 생선의 가격은 모르고 있었다. 얼마를 받을까 한참 고민한 후에 결심을 한다. 예, 2000원 주세요. 이러한 상황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을 하.. 2008. 8. 11.
새벽 초승달과 초저녁 서산에 지는 그믐달을 보셨는지? 초승달과 그믐달의 정확한 모습을 알고 있는지? 초승달은 달의 오른쪽이 가늘게 보이는 것이고, 그믐달은 달의 왼쪽이 가늘게 보이는 것이다. 우리는 달이 초승달에서 시작하여 날짜가 지남에 따라 상현달, 보름달, 하현달, 그믐달로 변하는 것을 안다. 소설이라든가 시에 보면 가끔 이런 표현을 보게 된다. (예를 들어) 을지문덕 장군은 새벽에 말을 타고 동쪽으로 동쪽으로 달렸다. 하늘 에 걸린 초승달은 장군의 칼처럼 예리하게 나뭇가지에 걸려있었다. 둥둥둥.... 또는, 서산에 해는 지고 외로운 내 마음... 하늘에 그믐달마져도 내 마음처럼 외롭게 외롭게... 그러나 이러한 표현은 모두 과학적으로는 잘못된 것들이다. 초승달은 오로지 서쪽 하늘에서 초저녁에만 잠시 볼 수가 있다. 또한 그믐달은 새벽에 동쪽 하늘에서만.. 2008. 8. 11.
태양이 가장 높이 뜰때가 12시 일까? 하루 중에서 태양이 남쪽 하늘에 가장 높이 뜨는 시각을 물으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거야 물으나마나 낮 12시 이지. 라고 대답을 한다. 그러나 서울에서는 12시 정각이 아니라 대략 12시 30분 경이다. 물론 매일 매일 조금씩 차이는 있으나 10분 내외이다. 때문에 이제는 누가 태양이 가장 높이 뜰 때가 언제냐고 물으면 12시 30분 경이라고 대답하기 바란다. 물론 이것은 서울에서의 이야기이다. 사람들은 태양의 움직임을 기준으로하여 시간을 정하였다. 즉 태양이 남쪽 하늘 가장 높이 올라왔을 때를 12시로 하였다. 그런데 모든 지방의 사람들이 이런 식으로 시간을 정하여 사용한다면 엄청난 혼란이 생길 것이다. 태양은 동쪽에서 떠서 서쪽으로 움직인다. 하나의 예로 서울과 부산 지방의 경도는 다르기 때문에 부산.. 2008. 8. 11.
원시인과 공룡이 같은시대에 살았나? 얼마 전에 쥬라기 공원 이라는 소설과 영화가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모았다. 공룡은 어린 학생들에게 언제나 흥미의 대상이다. 그래서 만화 영화등에 공룡을 소재로한 것들이 많이 있다. 그런데 여기에 문제가 있다. 그런 영화에서 보면 우리의 조상 원시인들이 작은 공룡을 타고 다니고, 또는 무리를 지어 공룡을 사냥을 하고, 흉폭한 공룡들에게 인간이 잡아 먹히고는 한다. 이러한 내용의 영화 때문에 우리는 흔히 원시인과 공룡은 같은 시대에 같이 살았던 것으로 생각을 한다. 그러나 원시인과 공룡이 지구상에 출현하여 번성을 하였던 시기는 엄청난 시간적 간격이 있다. 초기의 인류의 조상이 지구상에 출현한 것은 약 250만년 전으로 생각을 한다. 반면에 공룡이 번성하였다는 중생대라는 기간은 2억 3000만년 전에 시작을 .. 2008. 8. 11.
출입문이 화장실로 바뀐다면 몰래카메라 2008. 8. 1.
동영상을 이용한 손접기 동영상을 이용해서 만든 손접기 프로그램 마우스를 손가락 위로 올리면 손을 접어요. 2008. 7. 26.
sbs ucc 과학탐험대 출연했어요(자외선) 2008년 6월 24일 SBS UCC 과학탐험대에 저희학교 학생들과 자외선 조사카드를 이용한 청사진 만들기를 가지고 출연했습니다. 자외선은 눈에 보이지 않지만 간접적인 방법으로 확인할 수 있네요 2008. 7. 26.
화장실 거울 반사 - 1명은 안보이네 - 본다는 것은 동영상 다운받기 본다는 것의 개념을 잡을때 사용합니다. 우리가 보고 있는 것은 어쩌면 실제가 아닐지도 모릅니다. 우리가 알 수 있는 것은 빛이 눈으로 들어왔다는 사실입니다. 하지만 이 빛이 어떻게 눈으로 들어왔는지 즉 굴절이나 반사를 해서 들어왔는지를 알수는 없습니다. 그래서 경험에 많이 의존하게 되지요. 거울에 비친 모습이 진짜인지 가짜인지 알 수는 없습니다. 알 수 있는 것은 빛이 눈으로 들어와서 물체를 보고 있다는 사실 뿐이지요. ^^ 2008. 7. 13.
경기도 과학교육원- 과학수업아이디어 나누기 연수 동영상-소리 경기도과학교육원에서는 과학의 달을 맞이하여 과학교사들을 위한 '과학수업아이디어, 함께 나눠요!’행사를 다음과 같이 실시했습니다. 가. 일 시 : 2008.4.20(일) 10:00 ~ 18:00 나. 장 소 : 경기도 수원시 경기도과학교육원 실험실 다. 대 상 : 전국의 초등교사, 중, 고 과학교사 라. 행사 내용 1) 과학수업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간단한 수업아이디어나 수업 전략 소개 2) 교과서 실험에 대안을 제시하는 간단하면서도 효과 만점의 실험방법 소개 경기도 과학교육원에서 실시했던 20분짜리 연수 영상입니다. https://youtu.be/Bq8o60YxNaQ 2008. 7.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