컵을 뒤집어도 쏟아지지 않는 물(대기압) - 두번째 실험-결론 첫 번째 실험에서 거꾸로 뒤집어 놓은 컵속에 물이 쏟아지지 않는 이유는 대기압 보다는 표면장력 때문일 것이라고 결론을 내렸다. 컵속의 압력 변화가 아주 작았기 때문이었다. 첫번째 실험을 보지 않은 사람은 아래 링크에 가서 첫번째 실험을 먼저 보고 올 것 sciencelove.com/2542 물이 거의 없는 경우는 컵에 구멍을 뚫어 놓아도 막고 있는 종이가 떨어지지 않는다. 이건 표면장력에 영향이 더 크기 때문으로 보인다. 따라서 표면장력도 영향을 미치는 것이 맞다고 본다. 이번에는 추가실험을 통해 표면장력 보다는 대기압의 영향이 더 크다는 것을 밝히고자 한다. 우선 동영상을 보자. 우선 내가 세웠던 가설에 틀린점이 있다. 종이가 떨어지지 않으려면 종이에 작용하는 힘이 평형을 이루고 있어야 한다. ④ 대기.. 2021. 5. 2. 컵을 뒤집어도 쏟아지지 않는 물(대기압) - 첫번째 실험 연역적 탐구 방법으로 접근해 봐도 좋다. 이 실험은 실패한 실험이다. 무엇이 잘 못 되었는지 첫번째 실험에서 오류를 찾아 보자. 만약 내 설명에 수긍한다면 여러분도 뭔가 중요한 것을 놓치고 있는 것이다. 물이 든 컵 입구를 두꺼운 종이로 막고 뒤집어 놓아도 대기압 때문에 물이 쏟아지지 않는다. 그런데 항상 궁금했다. 한때는 컵 안에 공기가 들어가지 않게 물을 가득채워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컵을 뒤집으면 컵 안쪽은 진공이 되고, 그럼 토리첼리 실험에서 대기압은 물을 약 10m 높이 까지 밀어올리니까 물이 쏟아지지 않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런데 컵속에 물을 절반만 채우고 실험을 해도 물이 쏟아지지 않는다. 컵속에 들어있는 공기는 분명 대기압과 거의 같을 텐데... 한동안 나를 혼란스럽게 만들었던 문제.. 2021. 5. 1. 주사위 던지기 프로그램 및 확률 통계 프로그램 무언가를 뽑거나 선정해야 할때 가끔 주사위를 던져야 할 때가 있어서 만들어 보았다. 한번에 최대 6개까지 던질 수 있다. 물론 1개만 던져도 되고 2개 동시에 던져도 된다. 6개까지 만든 이유는 6개를 동시에 던지면 30명 발표자 뽑기도 가능하기 때문이다. (6-30번은 나온 번호 그대로, 31-36번이 나오면 1-6번이 발표하면 된다.) 주사위 던지는 프로그램은 아래 링크에 가서 실행하면 된다. sciencej.cafe24.com/html5/dice/dice.html 만들어 놓고 보니 저학년의 경우 수학시간에는 간단한 덧셈 교육용으로 활용해도 좋을 듯 하다. 6개 주사위를 더하면 얼마가 나올까? 더해 보아라. 그런데 발표자 뽑기를 할 때 확률적으로 6개를 동시에 던지면 합계가 6이나 36이 나올 확률은.. 2021. 4. 23. (탐구실험) 수평으로 던진 물체 운동 분석 가상실험 및 보고서작성 갈릴레이가 했던 실험을 재연해 보면서 수평으로 던진 물체가 떨어지는 시간을 탐구실험을 통해 확인해 보자. 이론적인 내용보다 실제 실험에 집중할 수 있게 만들었다. 아래 링크에서 가상실험을 할 수 있다. sciencej.cafe24.com/html5/freefall3/freefall3.html (탐구실험대회 준비하는 학생들에게도 적용해 볼 수 있다. 탐구하면서 데이터를 어떻게 정리할 것인지, 그리고 어떻게 분석할 것인지 배우게 할 수 있다.) 다양한 변인을 바꿔 가면서 실험을 하고, 보고서를 작성하고, 그래프를 그려보며 분석을 하게 하자. 실험데이타를 잘 분석해서 의미있는 결과도 도출해 보자. 가상실험에서는 공의 높이와 책상의 높이를 마음대로 바꿔가며 실험해 볼 수 있다. 또 가상실험 안에 타이머를 내장해.. 2021. 4. 20. 자유낙하와 수평으로 던져진 물체 운동 비교 가상실험 자유낙하 하는 물체와 수평으로 던져진 물체 중 어떤 것이 빨리 떨어질까? 아래로 떨어진다는 것은 중력의 영향만 받기 때문에 수평속력과는 상관이 없다. 가상실험을 통해 확인해 볼 수 있게 만들었다. 가상실험은 아래 링크에 접속해서 해 볼 수 있다. sciencej.cafe24.com/html5/freefall2/freefall2.html 1. 시작하면 빗면에 있는 구슬 높이를 드래그 해서 조절해 보자. - 높이 올려 놓으면 수평속력이 빨라지고, 낮게 올려 놓으면 수평속력이 느려진다. 2. 촬영간격을 1초 또는 0.5초로 바꿔 가며 운동시작을 눌러 운동을 분석해 보자. - 실제 상황과 거의 똑같이 만들어져 있다. 학생들이 우측에 있는 자를 이용해서 정확하게 낙하한 거리를 측정해서 보고서를 작성하게 할 수 있.. 2021. 4. 11. 온라인 수업(쌍방향 수업) 활용 팁 6-3 - e학습터 채팅 이용 자동 학습 확인(출석 포함) e학습터 에서도 별다른 준비 없이 가장 쉽게 학생들을 수업에 참여 시키는 방법으로 채팅을 사용하면 좋다. 채팅창에 정답을 입력하게 하거나, 학습내용을 정리하게 한 후, 특정내용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올리게 하면 된다. 그런데 반 전체가 채팅창에 글을 올리면 누가 올렸는지 안 올렸는지 확인하기가 어렵고 개인별로 피드백 해 주기도 쉽지 않다. 그래서 채팅창에 글을 올리면, 바로 제출여부와 작성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구글스프레드 시트로 만들어서 zoom 에서 활용하고 있다. 활용방법은 아래 링크에 가서 zoom 채팅 활용법을 참고하면 된다. 사용법은 똑같다. 아래 링크에 있는 내용을 꼭 먼저 읽어보고 활용하기 바란다. 그리고 zoom 사용자는 아래 링크에 있는 구글스프레드 시트를 사용하기 .. 2021. 4. 6. 자유낙하 가상실험 프로그램 자유낙하 가상실험 프로그램이다. 아래 링크 눌러서 웹상이나 스마트폰에서 실험해 볼 수 있다. http://sciencej.cafe24.com/html5/freefall/freefall.html 자유낙하 운동에 대해 알아보자. 학생들에게 안내 할때는 아래 링크를 안내해 주면 좋다. sciencelovestudy.tistory.com/18 지구로 떨어지는 물체는 시간에 따른 속력변화가 일정한데 이러한 운동을 자유 낙하 운동이라고 한다. 그런데 무거운것과 가벼운것을 높은 곳에서 떨어 뜨리면 어떤게 먼저 떨어질까? 위 가상실험에서 무거운공과 보통공을 떨어 뜨려보면서 어떤게 먼저 떨어지는지 학습하게 할 수 있다. 깃털과 보통공을 선택하고 물체를 적당한 곳으로 이동시키고 떨어 뜨려도 되고, 아니면 겹쳐놓고 떨어 뜨.. 2021. 4. 4. 국내 최초(?)의 스마트 수업(2002년 스마트 연구수업) 2002년도에 실시했던 최초의 스마트 수업이다. 기록으로 남겨야 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시간이 오래 지났지만 정리해 본다. 예전에는 어떻게 스마트수업을 할 수 있었을까? 참고할 자료가 없어서 모든걸 스스로 만들고 구상해야 했다. 1. 학생들이 노트북의 마이크에 모둠별로 준비한 악기를 이용하여 소리를 녹음하고, 소리의 3요소를 분석하는 실험을 수행한다. 자신의 목소리도 녹음해서 파형도 분석해 본다. 2. 실험이 끝나면 모둠별 보고서를 작성해서 공유한다. 각모둠의 컴퓨터에 있는 보고서에 조별 실험결과와 토의 결과를 입력하면 공유된 교사용 컴퓨터에 자동으로 취합된다. (교사용 컴퓨터에 공유폴더를 만들고, 그 안에 모둠별 보고서를 엑셀로 만들어 넣어 놓고, 학생들 컴퓨터에서 교사용 컴퓨터 공유폴더로 접근해서 엑셀.. 2021. 3. 28. 주기율표 퍼즐 맞추기 프로그램 주기율표 1 – 20번까지 원소를 순서대로 맞춰보자. 아래 링크에 접속해서 도전하게 하면 된다. http://sciencej1.cafe24.com/html5/periodictablepuzzle/periodictablepuzzle.html 마우스로 드래그 해서 퍼즐 맞추듯이 원소를 맞추면 된다. 원소를 반복해서 학습하게 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원소를 선택하면 원소에 대한 정보와 전자분포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는 1단계부터 3단계 까지 있다. 단계가 올라갈수록 원소에 대한 정보가 줄어든다. 1단계에서는 원소에 대한 모든 정보를 볼 수 있지만 2단계에서는 원자번호가 사라진다. 3단계에서는 원소명도 사라진다. 온라인 수업에서 3단계 까지 반복해서 성공시키고, 결과화면을 과제로 받으면 된다. 중간에 다시하면 .. 2021. 3. 27. 이전 1 ··· 28 29 30 31 32 33 34 ··· 2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