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 3학년 과학281 도플러 효과 가상프로그램 - 도플러 효과 체험 저사양 컴퓨터에서는 속도가 너무 느려지네요. 그래서 도플러효과(저사양용)을 추가로 만들어서 올려 놓았습니다. 압축을 풀면 저사양용도 함께 있습니다. 도플러 효과 가상 실험 프로그램을 만들어 보았습니다.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파원(우주선)과 관측자를 마우스로 이동시켜 원하는 위치에 놓고 파동발생 간격을 정한다음 파동을 발생시키면 우주선으로 부터 파동이 만들어 집니다. 파동이 관측자에 도달을 하면 관측자의 모습이 잠깐 바뀌게 됩니다. 사운드 작동에 체크해 놓으면 도달할때마다 소리가 납니다. 이제 파원의 속력을 바꿔 운동을 시켜 보면 관측자에 도달하는 파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 수 있습니다. 사운드 작동을 시키지 말고 학생들에게 파동이 관측자와 충돌하는 순간마다 박수를 치게 하면 훨씬 효과가 좋습니다. 물론.. 2013. 4. 20. 은하수-지구에서 보는 우리은하 모습 지구에서 본 우리 은하의 모습 즉 은하수 모습입니다. 처음에 에니메이션인 줄 알았는데 실제로 사진작가가 촬영한 동영상이라네요 세계 각 지역을 다니며 우리은하 중심(궁수자리 주변)을 촬영한 영상들입니다. 참고로 궁수자리는 영상을 잘보면 우리은하 아래쪽에 주전자 모양으로 보이는 별입니다. 여러번 반복되는 영상에서 잠시 멈춤을 하고 궁수자리를 찾아 보세요. 아래는 우리은하 중심을 보고있는 실제 영상입니다. 2013. 4. 20. 무료 별자리 관찰 프로그램(Stellarium) - 별자리,성운,좌표계 관찰 무료 별자리 관찰 프로그램입니다. 용량도 작고 지금까지 써본것 중에 제일 좋으네요 천체에 관한 대부분의 것들을 다 해볼 수 있습니다. 사용법은 시간이 되는데로 만들어 올리겠습니다. 아래사이트에서 다운 받으시면 됩니다. (그럼 별다른 설정없이 한글판으로 사용가능합니다.) http://www.stellarium.org/ko/ 혹시 몰라 설치프로그램을 첨부화일로도 올려 놓겠습니다. 한글로 번역된 설명서 경상남도 과학교육원에 가시면 장유고등학교 임수연 선생님께서 번역해 놓으신게 있네요 아래사이트에 가시면 다운 받으실 수 있습니다. http://earth.gnse.kr/info/free/view.html?articleID=b58d2cf2-695b-11df-a7fd-7d78e10160dd 간단하게 정리해 보면 1... 2013. 4. 20. 북두칠성 입체 별자리 만들기 - 종이 팝업 북두칠성 입체 별자리 만들기입니다. 기존에 OHP용지와 빨대를 이용해서 만드는 방법이 있는데 준비물이 많이 들고 번거롭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또 노력에 비해 관찰하고자 하는 것은 아주 간단한 원리이므로 한번 관찰하고자 하는데 들어가는 비용이 많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그래서 팝업형태로 간단하게 입체 북두칠성을 만들어 보았습니다. 첨부화일을 다운 받으셔서 출력하셔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출력용지 팝업 형태로 접어서 정면에서 본 모습 팝업형태로 접어서 위에서 본 모습 야광스티커등을 이용해서 별의 등급에 맞춰 입체 별 끝에 붙여주는 활동을 해도 좋을 듯... 2013. 4. 20. 온도에 따른 색변화 관련 영상 모든 물질은 자신의 고유한 온도에 해당하는 파장을 내놓게 됩니다. 별의 온도에 따른 색변화를 직접 보여줄 수는 없지만 간접적으로 고온의 물질을 이용해서 온도에 따라 색이 변한다는 것을 보여줄 수 있을 것 같아서 유투브에서 영상을 찾아 보았습니다. 썩 마음에 드는 영상은 없네요 2013. 4. 20. LG사이언스 랜드에서 제공하는 과학송(별자리송) 별자리송 - LG사이언스랜드에서 제공하는 과학송 http://lg-sl.net/GameQuiz/SNCSong/SNCSongViewer.jsp?flash=/sl_song/SONG2007/SONG200711/SONG2007110005/SONG2007110005_NB.swf&title=별자리송 ®no=SONG2007110005 밤하늘 별자리 찾아보자 별! 별! 봄여름 가을겨울 별보자 별! 별! 아 북극성을 먼저 찾자 더블유자 모양 카시오페이아 북두칠성 사이가 북극성이다 이제 동쪽을 보자~ 봄에는 목동 자리 옆쪽을 보면 큰곰자리 아래 작은 사냥개 더 남쪽에는 사자와 처녀 바다 뱀도 보이네 밤하늘 별자리 세보자 별! 별! 봄여름 가을겨울 별보자 별! 별! 여름 밤하늘엔 훨훨 백조가 훨훨 거문고 퉁퉁 사수는 화살 .. 2013. 4. 20. 9단원 임시정리 생각나는데로 정리 1. 계절별 별자리가 바뀌는 이유를 프로그램으로 제작 2. 적색편이 청색편이를 도플러 효과를 이용해서 설명 3. 과학실 벽에 노끈으로 천구의 적도와 황도 표시하기 4. 과학실 벽에 황도 12궁 표시(스마트폰 이용?)하고 과학실 가운데 백열등(태양)을 놓고 별의 연주운동과 태양의 시운동 살펴보기 5. 자석을 이용하여 칠판에 별자리 만들기 6. LED 판넬을 이용하여 꼽기만 해도 불들어오는 별자리 만들기 7. 빨대를 이용하여 거리가 다른 북두칠성 만들기 8. 밝기가 조절되는 백열등 분광기로 보기 9. 거리와 밝기의 관계 스마트폰 조도계를 이용해서 측정 10. 전기난로가 켜질때 색변화 관찰 11. 연필심 직류전원장치 이용 온도에 따른 색변화 12. 별의 일주운동 - 노래방 조명이용 13. 음.. 2013. 4. 20. 별의 등급 비교 프로그램 별의 등급을 비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1등성 부터 6등성까지 교과서에 나오는데로 면적 갯수로 비교해 볼 수 있구요 한꺼번에 밝기는 같은데 면적이 다른 크기의 별을 1등성부터 6등성까지 살펴볼 수 있고 크기는 같은데 밝기가 다른 1등성 부터 6등성까지의 별을 비교해 볼 수 있습니다. 공통적으로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바를 넣어 크기가 작을때는 어떻게 보이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13. 4. 20. 별자리 조견판 설계도 별자리 조견판 입니다. 다운 받아서 압축을 풀면 3개의 그림화일이 나오는데 출력해서 별자리 조견판을 만들 수 있습니다. 출처는 2003년 우주정보소년단 홈페이지에서 가져 왔습니다. 2013. 4. 20. 4계절 별자리 - 칼레이도 사이클 이용해서 만들기 봄,여름,가을,겨울 별자리입니다. 칼레이도 사이클을 이용해서 만들어 보았습니다. 첨부된 pdf 화일을 다운받아 출력하면 화질이 더 좋게 출력할 수 있습니다. 직접 본인이 제작하고 싶으면 아래사이트에서 프로그램을 받아서 만들 수 있습니다. http://sciencelove.com/1502 2013. 4. 20. 별자리 관련 에니메이션 (동기유발) http://www.choppy.co.kr/ 에서 제공하는 에니메이션입니다. 동기유발자료로 좋을 것 같네요 위 사이트에서 다운받아 왔습니다. 2013. 4. 20. 별자리 보기판 (별자리 조견판) 프로그램 - 별자리찾기 기능추가 플래시로 만든 별자리 조견판입니다. 2016년 11월28일에 업그레이드 하면서 별자리를 찾아 볼 수 있도록 봄철 대삼각형부터 겨울철 대 삼각형까지 표시되도록 추가했습니다. 북두칠성과 카시오페이아를 이용하여 북극성 찾는 방법도 추가했습니다. 확대를 눌러 별자리를 찾아 보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 같네요. 계절별 별자리, 별의 일주운동, 별의 시운동등을 설명할 때 사용하면 좋을 것 같네요. 간단하게 별자리 보기판 설명할때 사용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투명/불투명 버튼을 넣어서 별자리 보기판 덮개를 투명하게 만들 수 있고 그리기/멈추기 버튼을 넣어 별자기 보기판 위에 그림을 그릴 수 있습니다. (예 : 북두칠성에 표시해 놓으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북두칠성 위치가 어떻게 변해가는지 비교할 수 있겠지요) (또는 .. 2013. 4. 20. 지구와 별 ppt 자료 ppt 다운받기 2010년에 이원숙 선생님이 올려주신 지구와 별 단원 ppt 자료입니다. 지구와 별 단원에서 아이들과 별자리판도 만들고 별자리 판과 함께 스타리나잇 활용했더니 즐거운 수업이 되었답니다. --------- 4계절 별자리를 아래처럼 외우면 쉽다고 하네요. 봄 : 봄(봄)처녀(처녀자리)가 목동(목동자리)을 사(사자자리)랑했네 여름 : 여름(여름) 백조(백조자리)는 독수리(독수리자리) 밥인 겨(거문고자리) 가을 : 카(가을)페(페가수스) 안(안드로메다) 물고기(물고기자리) 겨울: 오리온(오리온자리)을 소(황소자리)개(큰개,작은개) 합니다 ------------ 이원숙 선생님이 외우는 방법 저는 봄 : 봄처녀 사자 타고온 목동이랑 바람나는 계절 여름 : 새들의 고향(가장 용맹한 독수리와 백조를 사.. 2013. 4. 20. 지학사 교과서에 나오는 오리온 자리 매직아이 지학서 교과서에 오리온 자리를 매직아이로 만들어 놓은 사진이 있네요 너무 재미있어서 이곳에 올려 봅니다. 가운데 붉은 별이 세개가 되도록 쳐다보면 오리온 자리가 입체로 나타납니다. 2013. 4. 20. 이온결합과 공유결합 모둠활동으로 표현하기 - 양오중학교 양선숙 선생님 양오중학교 양선숙 선생님이 보내주신 자료입니다. 딱딱하기 쉬운 이온결합과 공유결합을 학생들의 모둠활동을 통해 재미있게 진행하셨네요 자료용량이 너무커서 게시판에 올릴수가 없어서 제가 이메일로 부탁드려서 실제 학생들이 제출한 자료를 받아 첨부화일로 올려 놓습니다. 따라하실 선생님들께서는 우수작 자료를 보여주시면 학생들이 활동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 같네요 좋은자료 제공해주신 안소영 선생님께 다시한번 감사드립니다. ---------------------------------- 아래는 양선숙 선생님께서 보내주신 내용입니다. ----------------------------------- 저는 과학교사로서는 새내기교사고 교직경력은 어느새 올해로 16차에 접어들어갑니다~ 무슨 말씀인가 의아하시죠 ㅋㅋ 제가 딴 우물.. 2013. 4. 18. HCFC를 이용한 혼합물 끓는점 오름 측정 강력먼지제거제(HCFC)를 이용하여 혼합물 끓는점 오름을 측정해 보았다. 강력먼지제거제를 뒤집어서 액체를 시험관 2개에 각각 받은 다음 공기중에 두면 끓기 시작한다. 한쪽 시험관에는 파라핀을 섞어 넣었다. (녹는건지 아직 100%확신이 서지 않아 약간 걱정이다. 실험을 맞게 한건지...) 시간이 지나면 혼합물을 만든 왼쪽 시험관은 끓는점이 서서히 올라가는 것을 볼 수 있다. 순수한 HCFC로 되어 있는 오른쪽 시험관은 끓는점이 변하지 않는다. (시간이 지나면 약간이긴 하지만 조금씩 변하긴 한다. 강력먼지제거제도 순물질이 아닌 약간의 혼합물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든다.) 실험결과가 아주 만족스럽지는 않았지만 파라핀을 섞은 왼쪽 시험관이 조금 끓는점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영상을 보여줄때 마지막 부.. 2013. 4. 18. 공기가 혼합물임을 증명하는 방법 공기가 혼합물임을 증명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수업시간에 컵에 얼음물을 가지고 들어가면 된다. 컵주변에 수증기가 응결하여 물방울이 맺히게 되어 뿌옇게 흐려지게 된다. 공기중에서 물을 잡아낸 것이다. 따라서 공기중에는 질소,산소뿐만 아니라 수증기(물)도 섞여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공기는 혼합물이다. 좀더 극적으로 보여주기 위해 강력먼지제거제를 이용하여 수증기 응결실험과 간단한 저온실험과 함께 보여주면 효과가 좋다. (강력먼지제거제를 이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강력먼지제거제 이용하는 방법은 아래 사이트 참고) http://sciencelove.com/1021 2013. 4. 18. 수소와 산소를 합성하여 물(화합물)만들기 (기체반응의 법칙) 수소와 산소를 합성하여 물을 만드는 실험을 해 보았습니다.오래전부터 구상해 오던 방법인데 주사기를 이용하면 부피비를 볼 수 있을 것 같아서오늘 실험에 도전해 보았습니다.https://www.youtube.com/watch?v=LD--5W1iwSs 주사기를 이용하면 쉽게 실험할 수 있을 것 같아 시도해 보았는데 생각한 실험은 성공시키지 못했네요산소모으는 방법은 1회용 산소를 이용했구요.수소는 수상치환을 할까 고민하다가 간단하게 새로운 방법을 구상해 보았습니다.주사기에 마그네슘리본을 작게 잘라 넣고, 묽은 염산을 끌어들이면 안에서 반응이 일어납니다.그럼 다른 주사기를 반대쪽에 연결하면 쉽게 수소를 모을 수 있습니다.(동영상 참고)수소와 산소를 2:1 로 모으고 압전기로 스파크를 발생시켜 물이 만들어지면서부피.. 2013. 4. 18. 순물질과 혼합물 끓는점 비교 가상실험 순수한 물은 100도에서 끓지만 소금물과 같은 혼합물은 더 높은 온도에서 끓는다. 그리고 끓는점이 계속해서 올라간다. 평상시에 설명하던 방법을 간단하게 가상실험으로 제작해 보았다. 설정에서 압력을 표시하면 대기압과 수증기압이 화살표로 표시된다. 사람모형표시를 누르면 분자들이 사람모양으로 바뀐다. 끓는점 오름에 대한 것은 이렇게 가르치면 좋습니다. 물이 100도가 되면 대기압을 뚫고 공기중으로 날아가게 되는데 그것이 끓는점입니다. 그런데 혼합물이 되면 물 표면에서 혼합물(저는 힘센 깡패들(?) 이라고 예를 들기도 합니다.)들이 물이 대기중으로 날아가는 것을 방해합니다. 그래서 100도에서는 선량한 물들이 대기중으로 못 날아가고 더 높은 온도가 되어야지만 끓게 됩니다. 물이 끓으면 끓을수록 선량한 물들의 비.. 2013. 4. 18. 주기율표 관찰 프로그램 - 이온모형까지 아래 링크에 가면 스마트폰이나 웹에서 직접 실행해 볼 수 있습니다. http://sciencej.cafe24.com/html5/periodictable/periodictable.html 2단원에서 만들어 올렸던 주기율표 관찰 프로그램입니다. 2단원 뿐만 아니라 3단원의 이온결합 공유결합에서도 사용해도 좋을 것 같아서 올립니다. 중학교 수준을 고려해서 최대한 쉽게 만들려고 노력했습니다. 원소기호는 1번부터 20번까지 나타나게 했고 주기율표에서 같은 족은 성질이 비슷하다는 것을 보여 주기 위해 전자 배치와, 온도에 따른 상태변화에 관한 내용을 넣었습니다. 1. 금속/비금속 선택버튼을 눌러 금속원소와 비금속원소의 위치를 확인한다. 2. 온도변화 선택버튼을 눌러 온도조절바를 조절해 가면서 각 원소의 상태변화(고.. 2013. 4. 18. 이전 1 ··· 10 11 12 13 14 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