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ZEP 메타버스 - 방탈출 게임 - 문제적 남자 zep 이 유료화 하면서 무료의 경우 동시접속이 20명으로 제한되었습니다.그리고 만들어진 스페이스 복사도 안되네요.학생이 20명이 넘어가면 모든반 학생들 접속이 안되기 때문에 학교에서 사용하기에 많이 불편해 졌습니다.2명씩 짝을 이뤄 참가시키는 방법이 있습니다.문제는 -------------------문제적 남자를 가지고 메타버스 - 방탈출 게임을 만들어 보았습니다.게더타운과 비슷한 ZEP 을 사용했습니다. ZEP 사이트(https://zep.us/) 에셋스토어에서 지금 우리 스쿨은(좀비버전) 맵을  가져다가(FREE 버전 구매)문제만 문제적남자에 나오는 퍼즐 내용으로 바꾸었습니다.그리고 교실 이곳 저곳에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힌트를 추가로 포함해서 만들어 보았습니다.논리적 퍼즐 문제이기 때문에 모든.. 2022. 7. 13.
잡아내지 말고 잘못을 스스로 말하게 하라(학생에게 선택권을 넘겨라 4탄) 1. 학교에서 잘못한 학생을 데려다 야단칠 때 교사의 관점에서 야단칠때가 많다. '너 수업시간에 이런 이런 행동을 하면 안되지. 그리고 선생님이 몇번이나 조용히 하라고 했니? 왜 선생님 말을 안듣고 계속 그런 행동을 하지. 넌 남의 말 안 듣고 떠드는 경향이 있어. 등등' 학생이 잘 못한 상황이지만 학생은 전혀 반성의 기미가 안 보인다. 학생입장에서는 떠들던 수많은 학생 중 1명 이었을 뿐이고, 나 말고, 다른 아이들도 떠들었는데 나한테만 뭐라고 하니 짜증이 날 것이다. 학생을 야단치면 많은 학생들이 '저만 떠든거 아닌데요. 길동이도 떠들었는데요' 라며 불만을 토로한다. '지금 선생님은 네가 떠든 걸 이야기 하는 거야. 길동이가 떠들었다고 해서, 네가 떠든것이 괜찮은 건 아니야. 본질을 흐리지 말고, 네.. 2022. 7. 5.
갈등없이 과제 내고 처리하는 방법. (학생에게 선택권을 넘겨라3탄) 학교에서 대부분의 갈등은 많이 배우고, 똑똑하고, 현명한 선생님이 멍청한 학생을 데려다가 논리적으로 잘못을 지적하고 합리적인 지시를 내리는데서 시작된다. 1. 수업시간에 학생들에게 과제를 낸다. 과제를 좋아하는 학생은 거의 없다. 과제를 낼때 부터 갈등이 시작된다. '일요일 까지 과제 제출 안하는 학생은 감점이다. 선생님이 시간 충분히 준다. 꼭 하도록 해라' 학생들에게 배려해 주는 것처럼 말하지만, 학교일에 바쁜 학생들은 어느순간 과제가 있는지 잊어 버린다. 중간에 한번 정도 '과제 안내면 감점이다. 아직 안낸 사람들은 꼭 제출하도록 해라.' 라고 강조하면서 교사로서 할 일은 다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그 다음주 월요일에 교실에 들어가서 '과제 제출 안한 누구 누구는 감점이다.' 라고 선언을 한다. 태.. 2022. 6. 29.
초간단 택배박스 투석기 만들기 (택배박스 이용5) 짧은 시간에 만들어서 쉽게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택배박스를 이용한 투석기를 만들어 보았다. 기존 나무젓가락을 이용해서 만드는 투석기는 고무줄도 너무 많이 들고, 만든 후 뒷 처리도 쉽지 않았다. 그래서 택배박스를 이용해서 간단하게 만들 수 있는 투석기를 개발 하게 되었다. 수업이 끝나면 택배박스 투석기는 바로 분해 해서 다음 반에 가서 만드는 것부터 다시 시작해서 재 활용 할 수 있다. 개인별로 만드는 것도 좋지만, 2명 또는 모둠별로 만들게 해서 함께 탐구하게 하면 더 의미가 있다. 먼저 투석기 동영상을 보자 https://youtu.be/d6yrZfqWcVo 택배박스(A형B골200x100x100mm), 택배박스(A형D골180x100x100mm) 추천 고무줄 2개, 나무젓가락(20cm 이상), 일회용.. 2022. 6. 23.
피노키오(라이어 게임) 게임 - 교육용 (온라인 과제만들기 7) 여러명이 돌아가며 제시어에 대해 이야기 하면서 피노키오(거짓말쟁이)를 찾는 게임이다. 보통 제시어와 피노키오를 적은 종이를 뽑아서 게임을 진행하는데, 태블릿을 사용하면 종이에 인쇄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수업시간에 배운 내용을 가지고 하면, 모둠원들끼리 태블릿을 가지고 재미있는 활동을 시킬 수 있다. 필요하다면 교사 컴퓨터만 가지고 반 전체가 참여할 수 있다. 모둠별로 돌아가면서 모둠대표가 앞에 나와 컴퓨터에서 내용을 확인한 다음, 돌아가서 모둠원들 한테 알려 주고, 모둠대표가 중심이 되어 모둠원과 상의 한 다음 일어나서 설명하면 된다. 그럼 1반 전체가 참여할 수도 있다. 바로 참여할 수 있는 기본 상식으로 만들어진 피노키오(라이어 게임) https://sciencej.cafe24.com/ht.. 2022. 6. 21.
앵그리 버드 게임 - 자유낙하와 수평으로 던진 물체의 운동 가상 실험 자유낙하와 수평으로 던져진 물체 비교 가상실험을 하기 전, 또는 한 후에 게임 형식으로 이론을 체험해 보자. 학생들은 이론을 현실에 적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앵그리버드를 새총으로 날려서 돼지를 맞추는 게임이다. 그런데 똑똑한 돼지는 앵그리버드를 날리는 순간 나무에서 뛰어내린다. 아니 잡고 있던 가지를 놓고 자유낙하를 한다. 돼지를 맞추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나름대로의 전략을 짜서 돼지를 맞춰 보자. https://sciencej1.cafe24.com/html5/monkeyhunter/birdhunter.html 1. 속도를 15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돼지를 맞춰 보자. 2. 방향을 고정시켜 놓고 속도만 바꿔 가며 돼지를 맞춰 보자. 3. 방향과 속도를 변화시켜 가며 돼지를 맞춰 보자. 속력을 느리게.. 2022. 6. 5.
원숭이 사냥(Monkey and the Hunter) - 자유낙하 운동 가상실험 나무에 매달린 원숭이가 떨어지는 순간 원숭이를 공으로 맞추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화살표로 방향을 정하고 발사를 누르면 공이 화살표 방향으로 발사된다. 발사되는 순간 원숭이도 나무에서 떨어지게 된다. 아래 링크에 접속해서 공을 이용해서 원숭이를 맞춰 보자. https://sciencej1.cafe24.com/html5/monkeyhunter/monkeyhunter.html 공의 위치와 원숭이의 위치를 드래그 해서 바꿔 볼 수 있다. 아니면 문제출제 버튼을 누르면 원숭이와 공의 위치가 무작위로 바뀐다. 속력을 변화 시키면 공이 날아가는 화살표의 방향은 어떻게 바꿔야 할까? 일단 여러 가지 방법으로 시도해 보자. 1) 속력은 그대로 두고 화살표 방향을 바꿔 가면서 시도 2) 화살표 방향은 그대로 두고 속력만.. 2022. 6. 2.
온라인 직소퍼즐 만들기 (온라인 과제 만들기 6) 웹상에서 원하는 그림으로 직소퍼즐을 만들어 학생들에게 제공하면 다양한 활동을 하게 할 수 있다. 주기율표나, 암석의 순환 그림등을 수업내용과 관련된 그림을 이용해서 직소퍼즐을 만들고, 학생들이 그 퍼즐을 맞추면서 수업내용을 다시 상기해 보게 할 수 있다. 또는 퍼즐 결과물을 알 수 없게 하고, 퍼즐을 완성하면 수업내용을 알게 할 수도 있다. 최근에는 방탈출게임에도 응용할 수 있게 결과물을 미리 볼수 없는 기능도 추가되어 있다. 직접 만들고 싶었는데, 최근에 온라인 직소퍼즐을 만들어 주는 사이트를 알게 되었다. 내가 만들고 싶은 기능이 다 들어 있다. 따로 만들 필요가 없어졌다. 만드는 방법도 아주 간단하고, 회원가입도 필요 없다. 간단하게 수업과 관련된 내용을 직소퍼즐을 만들어서 퍼즐 주소를 학생들에게 .. 2022. 5. 6.
클래스툴(classtool) 사용법 - 실시간 상호작용 스마트 수업 클래스툴은 실시간으로 학생들과 스마트기기로 소통할 수 있는 가장 쉬운 프로그램 중 하나다. 카훗과 같은 기존에 프로그램들은 교사가 미리 문제를 만든다거나, 미리 선행작업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클래스툴은 클릭커 프로그램처럼 바로 그 자리에서 학생들에게 문제를 제시하고 답변을 받아 통계처리 할 수 있다. TV 예능 프로그램(나가수, 대국민 토크쇼 안녕하세요)에서 관객들의 의견을 취합할 때 사용하는 것과 같은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교사가 그림을 제시하면 학생들이 그림에 표시해서 다시 제출하는 화이트보드 기능은 다른 도구에서 볼 수 없는 획기적인 기능 중 하나다. 최근에 학생들에게 스마트기기가 보급되고 있는 시점에 잘 활용하면 뛰어난 교수학습 도구가 될 것이다. 1. 클래스툴 접속하고 .. 2022. 5.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