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구글 스프레드시트 QUERY 함수 이용해서 학생 데이터 가공하기 1 학교에서 업무를 하다 보면 수많은 원본 데이터를 가공해야 하는 경우가 생긴다. 기본 함수만 가지고 웬만한 건 다 할 수 있지만, 조금 더 다양하게 데이터를 가공해야 할 때가 있다. 그럴 때 구글 스프레드시트의 QUERY 함수를 사용하면 된다. (vlookup 함수나 index, match 함수의 한계를 해결할 수 있다.) QUERY 함수는 그냥 우리가 말로 설명할 수 있는 건 다 거의 다 표현할 수 있는 함수라고 보면 된다. 예를 들어 성적 데이터를 보고, 원하는 데이터를 말로 표현할 수 있으면 된다. 이때는 구체적으로 잘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 ‘1학년 남학생 중에, 전교 100등 안에 드는 학생 중에, 국어점수가 90점 이상인 학생 중에, 영어점수가 제일 높은 학생’ 이런 식으로 말로 진술할 수 있.. 2022. 2. 24.
탐구활동-물의 양에 따른 경사면 굴리기 실험(에너지 보존) 병에 든 물의 양에 따라 경사면을 굴러 내려가는 속력이 달라 진다. 그래서 학생들과 모둠별로 쉽게 해 볼 수 있는 탐구 실험을 설계해 보았다. 초등학교에서는 단순하게 측정값을 이용해 그래프 그리는 실험을 해도 좋고 중·고등학교에서는 에너지 보존법칙을 배우고, 역학적 에너지에서 회전에너지 손실에 따라 운동에너지가 어떻게 변하는지 확인하는 실험을 해봐도 좋고 고등학교 물리에서는 관성모멘트 관련 실험으로 해도 좋을 듯 하다. 단 실제 실험해 보니 경사면 각도가 너무 크면 자유낙하 실험처럼 측정하는 시간이 짧아서 구별이 쉽지 않다. 또 너무 각도가 작으면 마찰력 때문에 잘 구르지 않는 경우가 생긴다. 경사면 각도를 3도 정도로 하면 좋다. 이 또한 학생들이 스스로 알아서 정하게 하고, 경사면 각도에 따라 실험결.. 2022. 2. 11.
물병, 얼린 병 과 다양한 병 경사면 굴리기 실험 물병과 얼린 병을 경사면에서 굴리면 물병이 빨리 굴러 내려간다.  그렇다면 다양한 병들을 굴린다면 어떤 병이 먼저 굴러 내려갈까?다양한 병들을 준비해서 실험해 보기로 했다.빈 병, 물이 절반 든 병, 물병, 절반만 얼린 병, 전체 얼린 병 아래 실험 영상을 보면서 비교해 보자. https://youtu.be/7KFWDvWYPdg실험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빈 병 2. 물이 절반 든 병 3. 물병 > 절반만 얼린 병 4. 얼린 병 5. 절반만 얼린 병 = 전체 얼린 병 6. 빈 병 얼린 병과 물병 중 어떤 것이 빨리 굴러가는지 확인하는 다른 방법은 두 병을 겹쳐서 굴려 보면 된다. 7. 물병위에 얼린병을 위치시키고 굴리면 물병 속도가 빠르므로 함께 굴러 내려간다.8. 물병과 얼린병 위치를 바꿔서 나란히.. 2022. 2. 10.
브라운 운동 가상실험2 p5js로 만들어 본 브라운 운동 입니다스마트폰 화면에서도 전체화면으로 볼 수 있다. 그동안 해결하지 못한 몇가지 문제점(전체화면으로 했을때 클릭위치가 잘 맞지 않던 문제)을 해결해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에서도 전체화면으로 실험이 가능하다.----- 스코틀랜드 식물학자 로버트 브라운이 물에 띄운 꽃가루 입자를 관찰하던 중, 꽃가루 입자가 물위를 끊임없이 불규칙적으로 운동하는 현상을 관찰했고,  그 이유가 주변에 액체 분자들의 끊임없는 운동에 의한 충돌 때문이라는 것을 밝혀졌다. 기체나 액체속에 부유하는 물질에서 관찰되는 운동이다.보통 실생활에서 물위에 떠 있는 큰 물체의 경우 브라운 운동을 관찰하기 쉽지 않다. 주변 액체 분자들이 충돌해도 큰 물체는 질량이 크기 때문에 거의 반응하지 않기 때문이다. 반면.. 2022. 2. 9.
물병과 얼린병을 회전시킬 때 회전에너지 비교 물병과 얼린병을 회전시키면 어떤 병이 회전시키기 힘들까? 이전에 물병과 얼린병 빗면 굴리기 실험에서 회전에너지만 따로 실험해 보기로 했다.관성모멘드로 비교한 이전 실험 및 설명은 아래 링크 참고 https://sciencelove.com/2592  삶은 달걀과 날달걀을 경사면에서 굴리면?(에너지 보존법칙)에너지 보존 법칙으로 설명이 가능하다. 일단 동영상을 보자. 날달걀이 조금 더 빨리 굴러 내려가는 걸 알 수 있다. 달걀은 쉽게 깨지기 때문에 실험하기가 곤란하다. 그래서 삶은달걀 대신 얼린sciencelove.com 물병보다 얼린병을 회전시키는데 더 큰 에너지가 든다. 이유는 물병을 회전시키면 안에 있는 물은 잘 따라 돌지 않고 병만 회전하기 때문이다. 반면에 얼린병은 안에 있는 얼음까지 다 따라 돌기.. 2022. 1. 27.
삶은 달걀과 날달걀을 경사면에서 굴리면?(에너지 보존법칙) 에너지 보존 법칙으로 설명이 가능하다. 일단 동영상을 보자. https://www.youtube.com/watch?v=6m1YNC8ZAlE  날달걀이 조금 더 빨리 굴러 내려가는 걸 알 수 있다. 달걀은 쉽게 깨지기 때문에 실험하기가 곤란하다. 그래서 삶은달걀 대신 얼린 페트병과 날달걀 대신 물이든 페트병을 가지고 실험해 보기로 했다. 결론부터 말하면 물이든 페트병 먼저 굴러 내려간다. 준비물이 간단하기 때문에 수업 시간에 해 봐도 좋다. 그런데 물을 미리 얼려 놔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이론적으로 접근하면 많이 복잡할 수 있지만 중학교 수준에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1. 가장 쉬운 설명에너지 보존법칙으로 설명하면 된다.  (마찰력이나 공기저항은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작다고 가정하고, 고려하지 않는 걸로.. 2022. 1. 26.
고등학교 선택과목 시험 자리 배치표 만들기 1.1 빠른번호가 왼쪽부터 앉을 건지 오른쪽 부터 앉을 건지 선택하는 기능 추가. 기초자료 시트에서 선택해 주면 자동으로 반영된다.   고등학교에서는 시험을 볼 때 학생들 선택과목이 많아, 시험시간 마다 선택과목순으로 새로 자리 배치를 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담임선생님이 매번 자리배치를 하는게 쉽지 않다. 그래서 선택과목 신청현황을 바탕으로 쉽게 시험 시간 자리 배치를 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보았다. 아래 그림처럼 자동으로 선택과목에 따라 순서대로 자리가 배치된다. 우선 아래 링크(테스트 버전)에 접속해서 담임 입장에서 1반이나 2반을 선택하고 이것 저것 눌러 보며 테스트 해 보자.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3QvriRJojpGmKPRDbJ-PxqTOzn5mTCo.. 2022. 1. 4.
구글스프레드 시트에서 calstr 함수 사용하기(예산편성시 사용) 구글스프레드 시트에서 산출식을 계산하는 calstr 함수 사용해서 예산편성에 사용하기 아래와 같이 예산편성 할 때 산술식을 자동으로 계산하기 위해 만듦. 학교 예산을 산출하는데, 엑셀에서는 산출식에 입력한 내용을 자동으로 계산하는 calstr 함수가 있다. 그런데 구글스프레드 시트에는 calstr 함수를 지원하지 않는다. 그래서 구글 앱스 스크립트를 사용해서 calstr을 지원하는 사용자 함수를 만들어 보았다. calstr 함수를 사용하면 아래 그림처럼 산출식을 한글로 적으면 알아서 자동으로 계산을 해서 계산값이 나오게 할 수 있다. 학교 예산 편성 작업을 할 때 구글 스프레드시트를 공유해서 사용하면 공동작업이 가능하다. 한 사람이 각 부서별 예산을 취합해서 따로 정리 할 필요가 없다. 각 부서별로 자신.. 2022. 1. 2.
강원도 교육청에서 제공하는 한글 무료 폰트 + 공공누리 무료 폰트 문서를 만들 때 글꼴 폰트 저작권 때문에 보통 기본글꼴만 사용합니다. 그런데 이번에 강원도 교육청에서 교육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무료 폰트를 만들어 배포 했네요 사용해 봤는데 상당히 마음에 듭니다. 5개의 폰트 입니다. 1. 아래 링크에 가서 강원도 교육청에서 공개한 윈도우용 폰트를 다운로드 합니다. https://www.gwe.go.kr/mbshome/mbs/kr/subview.do?id=kr_070902000000 2. 다운로드 받은 폰트를 미리 열어 둡니다. 3. 설정에서 글꼴 설정을 열고 글꼴 추가에 폰트를 끌어다 놓으면 자동으로 설치 됩니다. 설정에서 끌꼴 설정을 여는 방법은 설정창 들어가서 직접 찾아도 되고, 아니면 아래 그림처럼 윈도우 창 옆 검색에 font 라고 치면 글꼴 설정으로 바로 이동.. 2021. 12. 30.